[2단계] 각 공간의 특성을 반영한 실내기 용량 정해보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시도미 작성일 24-12-30 13:16 조회 33 댓글 0본문
이번 게시물에서는 다소 기술적인 얘기가 나옵니다만, 이마저도 마지막에 간략하게 정리를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나는 기술적인 내용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다 (↓ 여기서부터 읽으시면 됩니다)
공학 전공시에는 벽체, 창문을 두께, 단열특성 등을 반영해서 복잡한 공식으로 부하설계도 하곤 했었는데, 아파트의 경우 자재와 시공방법, 평면이 어느정도 정형화 되어 있다 보니 이미 전문가들이 고민해 놓은 대조표를 참조하시면 손쉽게 에어컨 용량을 선택하실 수가 있습니다.
통상적으로 먼저 냉방이 필요한 공간의 면적(㎡)을 구하고,
단위면적(1㎡)당 적용될 단위부하(kcal/hr)를 정한다음
이를 제조사가 실내기 용량으로 많이 쓰는 kW로 환산하면 됩니다.
(마지막에 평형으로 환산한 대조표를 붙여 드릴게요.)
단위가 많이 복잡하지만, 간단한 사칙연산이니 잘 따라 오시면 됩니다.
먼저 거실을 한번 볼게요.
아래 도면의 경우 거실의 사이즈가 대략 가로 5m, 세로 6m로 30㎡ 가 됩니다.
여기에 단위부하를 곱하게 되는데, 친절하게도 국내 유수의 건설사와 삼성/LG가 십수년에 걸쳐 협의해놓은 단위부하가 있습니다.
침실의 경우 120kcal/hr*㎡, 거실의 경우 150kcal/hr*㎡가 적용 됩니다.
30㎡에 150kcal/hr*㎡ 을 곱하면 4,500kcal/hr가 되겠죠.
여기서 단위를 왜 혼용을 했는지 모르겠지만, 1kW=860kcal/hr로 환산이 되기에
4,500kcal/hr=5.2kW가 됩니다.
이 경우 5.2kW에 해당하는 실내기를 선택하시면 되겠죠?
여기서 통상 거실은 한단계 Size up을 해주기 때문에 7.1kW로 선정해 보겠습니다.
이 환산을 간단히 뛰어넘으면, 1제곱미터당 0.2kW로 적용하시면 되겠네요.
2. 기술적인 내용은 귀찮지만 사칙연산 정도는 할 용의가 있다. (↓ 여기서부터 읽으시면 됩니다)
인테리어 하실때 각 방의 면적은 다 파악을 하고 계실겁니다.
거실이 30㎡면 제곱미터당 0.2kW를 곱하면 되니 6kW, 바로 상위 용량인 7.1kW를 선정하시면됩니다.
안방이 4m * 4m로 16㎡로 0.2곱하면 3.2니까 3.2kW,
작은방이 4m * 3m로 12㎡로 0.2 곱하면 2.4니까 근접한 2.3kW,
서재가 3m * 3m로 9㎡로 0.2 곱하면 1.8니까 근접한 2.0kW
이런식으로 계산하시면 됩니다.
3. 이마저도 귀찮고 잘 모르겠으니 알아서 정해줘 하시면,
30평대 미만은 거실 5.6kW, 안방 2.3~3.2kW, 나머지방 2.0kW를 기본으로 시작하시면 되고
30평이상 40평 미만은 거실 7.1kW, 안방 3.2kW, 나머지방 2.0kW
40평 이상 대형 평수는 거실 7.1kW, 안방 3.2kW, 나머지방 2.0kW을 기본으로 적용하되, 크기에 따라 작은방은 2.0에서 2.3kW로 키우시거나, 안방과 작은방이 차이가 별로 없는 경우는 안방을 2.3kW로 다운사이징 하시면 됩니다.
위 글을 사용자 참조용으로 보시면 되구요,
아파트명만 검색하면 시도미에서 미리 설계한 용량을 보실 수 있도록 전국 18900개 아파트 단지 설계를 다 해놓았기 때문에 간단히 검색만 하시고, 시도미 파트너 업체에 견적만 요청하시면 됩니다.
그럼 시도미에서 내 아파트 최적의 설계안 찾으시고, 꼼꼼한 파트너사 만나서 설치 잘 하시도록 열심히 도울게요.
이상 시도미였습니다.